신한대학교는 지난 10일 교원징계위원회를 열어, 반복적 인권 침해 및 교육권 남용 혐의를 받은 교수 3명(A, B, C 교수)에 대해서는 파면, 1명(D 교수)에게는 해임 처분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또한 교수 100인이 공동 성명서를 발표하며, 징계 결정에 대한 전폭적 지지와 학내 윤리 회복의 의지를 표명했다.
교수 100인은 이번 징계가 학생들의 제보를 출발점으로, 인권센터가 수개월 간 독립적으로 수행한 사실 조사·회계 감사·다수 학생의 진술을 근거로 이루어졌으며, 교육부 지침과 관련 법령, 학내 규정을 엄정히 준수했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A 교수는 사적 업무 반복 지시, 학과 예산·학생회비로 구매한 기자재와 물품의 개인 용도로 전용 등으로 밝혔다.
B 교수는 교육과 무관한 사적 업무 지시, 심야·새벽 집합 강요, 휴대전화 무단 열람 및 사생활 정보 수집, 반수생 주민등록번호 무단 이용해 타 대학 입학처 접근 및 협박 등 혐의가 확인했다고 밝혔다.
C 교수는 학생회비 강제 징수, 과도한 자필 반성문 강요, 경제적 자율권 침해 발언, 자퇴 권유 언행, 기자재 관리 책임자로서 회계 자료 누락 또는 폐기 등의 정황이 조사했다.
D 교수는 학생회장을 통해 학생들에게 고가 물품 구매를 유도하고 외부 행사에 사용한 점, 스승의 날 전후 학생들에게 선물과 편지 작성을 유도한 금품 수수 유인 행위 등이 확인되었다.
조사 과정에서는 일부 학생회 간부들이 해당 교수들과 유착하거나 입장을 비호하며 여론 조작과 학생 압박에 나선 정황도 드러났다.
총학생회장 및 부회장을 포함한 일부 간부들은 공식 절차 없이 수백 건의 대자보를 무단 게시하거나 특정 교수 연구실에 조롱성 문구를 남기고, 피해 학생들에 대해 따돌림을 조장한 행위가 확인되었다.
공동 성명서에서 교수들은 이번 사태를 “교육자의 기본 책무를 저버린 몰상식한 행위”로 규정하며, 인권센터의 독립 조사와 징계위원회의 결정을 전폭 지지한다고 밝혔다.
또한 학생자치기구의 투명성 확보, 학생 인권 보호 및 상담 시스템 강화 등을 실천 과제로 제시하였고, 성명서에는 “우리는 더 이상 침묵하지 않을 것이다”, “교육은 권력이 아니라 존중이며, 대학은 통제가 아닌 자유의 공간이어야 한다”고 선언했다.
학교 당국은 징계 발표 직후 이번 처분이 피해 학생들의 제보 및 인권센터의 독립 조사에 기반한 정당한 결정임을 거듭 강조하며, 앞으로 학내 인권 침해나 질서 파괴 행위를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는 무관용 원칙을 밝혔다.
(국제뉴스) 황종식 기자 2025.10.14 13:46
○ "'갑질 교수' 파면·해임 결정…신한대 교수 100인, 더는 침묵 없다" 선언 < 경기북부 < 전국 < 기사본문 - 국제뉴스